우주의 온도는 몇 도일까? 절대영도와 우주 배경 온도 이야기
우주라고 하면 끝없이 차가운 공간이라는 이미지가 떠오르지 않으신가요? 저는 예전에 ‘우주에서는 온도를 어떻게 잴까?’라는 생각이 들었고, 그 질문이 의외로 깊은 과학적 이야기로 이어졌어요. 오늘은 **우주의 온도는 실제로 몇 도인지**, 그리고 자주 등장하는 개념인 **절대영도와 우주 배경 복사**에 대해 쉽고 흥미롭게 정리해드릴게요. 1. 우주는 얼마나 차가울까? ● 우주는 거의 진공 상태 우주에는 공기나 물질이 거의 없기 때문에 **열을 전달할 매질도 거의 없어요.** 그래서 대부분의 공간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차갑죠. ● 평균 온도는 약 2.7K 우주의 평균 온도는 **켈빈(K) 기준 약 2.725K**, 섭씨로 환산하면 약 **–270.4도** 정도예요. 절대영도에 매우 가까운 온도죠. ● 가장 낮은 이론적 온도는 절대영도 절대영도는 **0K(–273.15℃)**로, **분자의 움직임이 완전히 멈추는 온도**예요. 하지만 이 온도는 현실에서 도달할 수 없고, 우주도 그보다 조금은 따뜻(?)하답니다. 2. 우주 배경 복사란 무엇인가? ● 빅뱅의 흔적, 코스믹 마이크로웨이브 우주 배경 복사(CMB)는 **약 138억 년 전, 빅뱅 직후에 발생한 에너지의 잔재**로, **온 우주에 고르게 퍼져 있는 전자기파**예요. 우주의 평균 온도가 2.7K인 이유도 이 복사 때문이에요. ● 1965년 우연히 발견된 CMB 펜지어스와 윌슨이라는 두 과학자가 **라디오 잡음을 조사하다가** 이 신호를 발견했고, 이는 **빅뱅 우주론을 뒷받침하는 결정적 증거**가 되었어요. ● 매우 미세한 온도 차이도 의미 있다 CMB에는 **10만 분의 1 수준의 온도 요동**이 있는데, 이것이 바로 **초기 우주의 밀도 차이**, 즉 **현재 은하와 별의 씨앗**이 된 것이에요. 3. 우주에서 온도는 어떻게 측정할까? ● 광자(빛)의 에너지로 측정 우주에선 온도계가 아닌, **복사되는 전자기파(빛)의 파장과 세기**를 분석해...